고용지원금 종류별 정리
국가 및 지자체에서는 청년, 고령자,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고용을 촉진하고,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고용지원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용지원금 요약표
구분 | 지원금 명칭 | 지원 대상 | 주요 내용 | 최대 지원금 | 비고 |
청년 |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중견기업 | 청년 정규직 채용 시 인건비 지원 | 최대 3년간 연 900만원 (1인당) | 연간 최대 3명까지 지원 |
청년 | 청년내일채움공제 | 청년 + 기업 공동 참여 | 장기근속 유도, 적립식 지원제도 | 2년간 최대 1,200만원 | 기업 간접 혜택 포함 |
고령자 |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 만 60세 이상 근로자 계속 고용 기업 | 정년 후 재고용 시 인건비 지원 | 연 1,080만원 (1인당) | 일정 인원 제한 있음 |
장애인 | 장애인 고용장려금 | 장애인 근로자 고용 기업 | 장애인 고용 시 인건비 지원 | 중증 월 80만원 / 경증 월 50만원 | 고용형태 따라 차등 |
일반 | 일자리 안정자금 | 저임금 근로자를 고용한 소규모 사업장 | 인건비 부담 완화 목적 | 월 최대 7만원 (1인당) | 고용보험 가입 요건 |
육아휴직 |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 육아휴직자 대체인력 고용 기업 | 대체인력 고용 시 지원 | 최대 360만원 (6개월) | 고용보험 가입 필수 |
고용지원금 상세 설명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
대상: 만 15~34세 청년 정규직 채용 기업
•
조건: 기존 인원 대비 ‘추가 채용’일 것
•
지원금: 1인당 연 900만원, 최대 3년 지원
•
기타: 기업당 연 최대 3명까지 가능
청년내일채움공제
•
대상: 청년 근로자 + 참여 기업
•
내용: 청년·기업·정부 3자 적립 → 장기근속 유도
•
수령액: 2년 만기 시 총 1,200만원 수령 가능
•
기업 혜택: 장기근속자 확보 가능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
대상: 정년 후 고령 근로자 재고용 기업
•
조건: 만 60세 이상 근로자 계속 고용
•
지원금: 연 1,080만원 (월 90만원)
•
기타: 일정 인원 제한 존재
장애인 고용장려금
•
대상: 장애인을 고용한 기업
•
지원금:
◦
중증 장애인: 월 최대 80만원
◦
경증 장애인: 월 최대 50만원
•
기타: 고용형태에 따라 지원금 차등
일자리 안정자금
•
대상: 저임금 근로자(월 230만원 이하 등) 고용 기업
•
조건: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등
•
지원금: 월 최대 7만원 (1인당)
•
목적: 최저임금 인상 대응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
대상: 육아휴직자 대체인력을 고용한 기업
•
조건: 고용보험 가입 및 육아휴직 승인 필요
•
지원금: 대체인력 1인당 최대 360만원 (6개월)
•
기타: 월 60만원 × 최대 6개월
이런 기업에 추천합니다
•
청년 정규직 채용 계획이 있다면 →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
고령자 재고용 예정이라면 →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
장애인 채용을 검토 중이라면 →
장애인 고용장려금
•
육아휴직 발생이 잦은 사업장이라면 →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
인건비 부담이 크다면 →
일자리 안정자금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할 경우, 반드시 세무사 또는 노무사와 상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