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고용지원금,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지원금 확인하기

고용지원금 종류별 정리

국가 및 지자체에서는 청년, 고령자,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고용을 촉진하고,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고용지원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용지원금 요약표

구분
지원금 명칭
지원 대상
주요 내용
최대 지원금
비고
청년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중견기업
청년 정규직 채용 시 인건비 지원
최대 3년간 연 900만원 (1인당)
연간 최대 3명까지 지원
청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 + 기업 공동 참여
장기근속 유도, 적립식 지원제도
2년간 최대 1,200만원
기업 간접 혜택 포함
고령자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만 60세 이상 근로자 계속 고용 기업
정년 후 재고용 시 인건비 지원
연 1,080만원 (1인당)
일정 인원 제한 있음
장애인
장애인 고용장려금
장애인 근로자 고용 기업
장애인 고용 시 인건비 지원
중증 월 80만원 / 경증 월 50만원
고용형태 따라 차등
일반
일자리 안정자금
저임금 근로자를 고용한 소규모 사업장
인건비 부담 완화 목적
월 최대 7만원 (1인당)
고용보험 가입 요건
육아휴직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육아휴직자 대체인력 고용 기업
대체인력 고용 시 지원
최대 360만원 (6개월)
고용보험 가입 필수

고용지원금 상세 설명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대상: 만 15~34세 청년 정규직 채용 기업
조건: 기존 인원 대비 ‘추가 채용’일 것
지원금: 1인당 연 900만원, 최대 3년 지원
기타: 기업당 연 최대 3명까지 가능

청년내일채움공제

대상: 청년 근로자 + 참여 기업
내용: 청년·기업·정부 3자 적립 → 장기근속 유도
수령액: 2년 만기 시 총 1,200만원 수령 가능
기업 혜택: 장기근속자 확보 가능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대상: 정년 후 고령 근로자 재고용 기업
조건: 만 60세 이상 근로자 계속 고용
지원금: 연 1,080만원 (월 90만원)
기타: 일정 인원 제한 존재

장애인 고용장려금

대상: 장애인을 고용한 기업
지원금:
중증 장애인: 월 최대 80만원
경증 장애인: 월 최대 50만원
기타: 고용형태에 따라 지원금 차등

일자리 안정자금

대상: 저임금 근로자(월 230만원 이하 등) 고용 기업
조건: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등
지원금: 월 최대 7만원 (1인당)
목적: 최저임금 인상 대응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대상: 육아휴직자 대체인력을 고용한 기업
조건: 고용보험 가입 및 육아휴직 승인 필요
지원금: 대체인력 1인당 최대 360만원 (6개월)
기타: 월 60만원 × 최대 6개월

이런 기업에 추천합니다

청년 정규직 채용 계획이 있다면 →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고령자 재고용 예정이라면 →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장애인 채용을 검토 중이라면 → 장애인 고용장려금
육아휴직 발생이 잦은 사업장이라면 →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인건비 부담이 크다면 → 일자리 안정자금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할 경우, 반드시 세무사 또는 노무사와 상의하세요!
상담 신청하기